5월은 푸른 달, 가정의 달.“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아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디모데전서 5장 8절)
'Mid pleasures and palaces though we may roam, Be it ever so humble, there's no place like home. A charm from the sky seems to hallow us there, Which, seek through the world, is ne'er met with elsewhere. Home, home, sweet, sweet home! There's no place like home, oh, there's no place like home!우리가 아무리 즐거운 곳과 멋진 성들을 돌아다닌다 해도 아무리 보잘 것 없다 하여도 우리 집만한 곳은 없답니다 마치 하늘의 매력이 우리를 그곳으로 이끄는 듯 세상 어느 곳을 찾아보아도 우리 집에 견줄만한 곳은 없답니다. 즐거운 나의 집!?이 세상 어디에도 우리 집만 한 곳은 없답니다. ******** 중략*********How sweet 'tis to sit 'neath a fond father's smile, And the caress of a mother to soothe and beguile! Let others delight 'mid new pleasure to roam, But give me, oh, give me, the pleasures of home, Home, home, sweet, sweet home! There's no place like home, oh, there's no place like home!사랑하는 아버지의 웃음을 보며 앉아있는 것은 얼마나 행복한지 그리고 날 위로하고 기쁘게 하는 어머니의 손길은 얼마나 부드러운지 다른 사람들은 새로운 즐거움 속을 돌아다니라고 하세요 그렇지만 내겐.. 내겐.. 우리 집의 즐거움을 주세요?즐거운 나의 집! 이 세상 어디에도 우리 집만 한 곳은 없답니다.To thee I'll return, overburdened with care. The heart's dearest solace will smile on me there. No more from that cottage again will I roam. Be it ever so humble, there's no place like home. Home, home, sweet, sweet home! There's no place like home, oh, there's no place like home!이제 근심을 가득 안고 난 돌아갑니다. 내 근심을 풀어줄 사랑하는 사람이 웃음 짓고 있을 그곳으로. 더 이상 나는 우리 집을 떠나 방황하지 않으렵니다 아무리 보잘 것 없다 해도 우리 집만 한 곳은 없으니까요. 즐거운 나의 집! 이 세상 어디에도 우리 집만 한 곳은 없답니다.1823년 영국의 작곡가 Bishop, Henry Rowley (1786-1855)이 작곡한‘즐거운 나의 집’은 비숍 헨리의 ‘밀라노의 아가씨 클라리’라는 오페라에서 선율이 나온 곡인데, 이 선율에 가사를 붙인 사람은 미국의 극작가이며 기자였던 John Howard Pain(1792-1852)이다. 그는 알제리에서 사망 했다. 31년 만에 그의 시신이 군함으로 뉴욕에 돌아오게 되던 날, 항구에는 미국 대통령, 국무위원, 상원위원들과 수많은 국민들이 나와 모자를 벗고 조용한 귀국에 환영과 조의를 표했다고 한다. 과연 그는 어떤 사람이며 또 무슨 업적을 남겼기에 이처럼 추앙받았던 것일까요? 그는 고향과 고국을 사랑하며, 피를 같이한 부모형제 있는 허름한 내 집을 그리워하고, 구차해도 행복한 내 집을 노래하며 수많은 희곡과 詩를 남기고,'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노래 작사했기 때문이며, 또한 문화와 예술을 소중히 여기는 미국 국민들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소중하게 지켜야 할 보물. 그것은 바로 가정인 것이다. 그가 1851년 3월 3일 C. E. 크라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는 이런 말을 했다. "이상한 얘기 같지만 세계의 모든 사람들에게 가정의 기쁨을 자랑스럽게 노래한 나 자신은 아직껏 내 집이라는 맛을 모르고 지냈으며 앞으로도 맛보지 못할 것이오." 그는 이 편지를 쓴 1년 뒤 튀니스에서 집도 없이 거의 길가에 쓰러지듯 이 세상을 떠났다. 그러다가 고향인 워싱턴의 오크 언덕 공동묘지에이장되어 비로소 안주의 땅을 얻었다. 이 노래는 작곡가인 비숍의 조국 영국보다 미국에서 더 유명해져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이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 -미국 남북전쟁 때(1862) 워싱턴시티 남쪽 레파하녹크 리버(Rappahannock river)전투는 가장 치열했던 전투로 양쪽 진영은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대치하고 있으면서 낮에는 전투, 밤이면 군인들의 사기를 위해서 양쪽 군악대는 매일 밤 음악회를 열었는데, 어느 날 밤 북군의 군악대가 '성조기의 노래'를 연주하자 남군은 '딕시의 노래'로 대항하다가 북군의 밴드가 HOME, SWEET HOME을 연주하자 남군의 군악대도 같은 노래를 연주하기 시작했고 그 순간 남북 모든 군인들은 텐트 밖으로 나와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즐거운 곳에서는 날 오라 하여도 내 쉴 곳은 작은 집 내 집뿐이리" 그들은 상대방이 적이라는 것도 잊어버리고 강으로 뛰어나와서 서로를 얼싸안고 환호했다. 이 장면을 현장에서 취재했던 기자 프랭크 막심은 한 마디로 이렇게 표현했다. '다들 미쳤다.'라고. 노래 하나 때문에 전쟁은 사라지고 오직 조국과 동포애만 남았던 것이지. 그로 인해 양쪽 군사들은 전쟁을 중단하고 24시간의 휴전을 약속했다고 한다.Home sweet home - CORNET 연주
'◈ - 공부방 > - ◈ -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민요 한곡... (0) | 2011.05.04 |
---|---|
조용한 경음악 / 소스 (0) | 2011.05.03 |
듣고 있으면 행복에 젖어드는 노래 (0) | 2011.04.29 |
가슴을 적시는 휘파람 소리 (0) | 2011.04.29 |
중년 / 소스 (0) | 2011.04.26 |